Le plaisir du texte
Roland BARTHES

Fiction d’un individu (quelque M. Teste à l’envers) qui abolirait en lui les barrières, les classes, les exclusions, non par syncrétisme, mais par simple débarras de ce vieux spectre : la contradiction logique; qui mélangerait tous les langages, fussent-ils réputés incompatibles; qui supporterait, muet, toutes les accusations d’illogisme, d’infidélité; qui resterait impassible devant l’ironie socratique (amener l’autre au suprême opprobre : se contredire) et la terreur légale (combien de preuves pénales fondées sur une psychologie de l’unité!). Cet homme serait l’abjection de notre société : les tribunaux, l’école, l’asile, la conversation, en feraient un étranger : qui supporte sans honte la contradiction? Or ce contre-héros existe : c’est le lecteur de texte, dans le moment où il prend son plaisir. Alors le vieux mythe biblique se retourne, la confusion des langues n’est plus une punition, le sujet accède à la jouissance par la cohabitation des langages, qui travaillent côte à côte : le texte de plaisir, c’est Babel heureuse.



텍스트의 즐거움
롤랑 바르트 지음, 최성웅 옮김

이것은 어떤 개인에 관한 허구다. 그는 (테스트 씨와는 반대로) 통합이 아니라 그저 ‘논리적 모순이라는 오랜 유령’을 쫓아냄으로써 자기 안의 장벽·계급·소외를 파기한다. 양립할 수 없다고 알려진 말들마저 모두 뒤섞으며, 비논리적이고 불충실하다는 비난을 모두 묵묵히 감수한다. (자기모순이라는 극단의 구렁텅이로 타인을 이끄는) 소크라테스적 아이러니와 합법적 폭정(얼마나 많은 형법 사례가 단일성의 심리학에 근거하고 있는가!) 앞에서도 무감하다. 이 자는 우리 사회에서 비천한 자로 남으리라. 법원·학교·수용소나 일상 대화에서 이방인으로 취급될 텐데, 누가 부끄럼 없이 모순을 견디겠는가? 그런데 [허구가 아니라] 실로 이러한 반영웅이 존재하니, 텍스트로 즐거움을 만끽하는 자, 그는 바로 독자 다. 따라서 성서의 옛 신화가 돌아오고, 언어들의 혼잡은 형벌이 아니게 되며, 주체는 말들이 나란히 작동하고 공존함으로써 기쁨에 다다른다. 즐거움의 텍스트, 그것은 행복한 바벨이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Back to Top